추진배경

    1

    (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)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으로 친환경차·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중심의 시장 가속화

              - 기존 내연기관 중심 → 친환경차(전기차, 수소차), 자율주행차, 이동·물류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

    2

    (미래차산업 전환 자동차부품 업계 대응 취약) 미래차 중심의 시장재푠 가속화로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구조의
    전환이 불가피하나 국내 자동차부품 업계의 대응은 취약함.

    3

    (미래차 부품 개발 전문인력 부족) 미래차 연구 개발에 적극적으로 착수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 전문인력 부족으로
    나타나며 성공적인 미래차 산업전환을 위해 관련분야 인적자원 육성이 시급함.
     - 국내 자동차부품 인력으로 '18년 친환경차 인력 4만 2,000명으로 연구개발(R&D)·설계·디자인·시험평가 인력 
       2만 1,000명, SW 인력 1,000명으로 매우 부족함.

    4

    미래차산업 핵심기술분야 제어·SW 등 석·박사급 R&D 연구인력 양성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 인력수급 미스매치 완화

    추진내용









    R&D 전문인력 양성

    • 연구 인재 기본 교육

      기술과제 수행을 위한 R&D 기획 기본 교육

      제품개발 및 생산 프로세스에 대한 개발역량 강화

      온라인 방식의 연구 인재 기본 소양 교육


    • 도제식 훈련

      R&D 과제 맞춤형 1:1 밀착 실무 교육

      기술멘토링, R&D 장비 및 시제품 개발 교육 등

    R&D 과제 지원

    • 시제품 제작 지원

      신(시)제품 제작 개발 지원

      시험 장비 개발 지원

    •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

      기술 전략 수립 지원

      시험 평가 및 인증 지원

      특허맵, 특허 출원 지원

    지원품목

    경북 남부권 소재 미래차(전기차/수소차/하이브리드)에 들어가는 제품 개발 생산 기업 지원
    • 1

      전기차 모터 구동부

    • 2

      배터리 시스템

    • 3

      전장부품

    • 4

      자율주행 관련 부품 등 전기차 전용

    •  

    기대효과


    연구개발에서 사업화로 바로 갈 수 있는 연구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기술적 우위를 선점

    지역 주력 미래차부품 기업육성을 통한 사업의 안정화 및 4차산업 랜딩 기업 창출

    원스톱 기술기반 기업지원을 통한 제품 경쟁력 강화

    인력 역량 강화 및 기술 개발을 통한 전문 인력 고용 확대

    기업의 품질경쟁력, 생산성, 시장진입을 통한 부품의 고부가가치화로 기업의 매출액 향상

    미래차 상용화를 위한 지역의 선재투자에 따라 핵심기업의 지역내 유치 및 관련 기업 투자 촉진

    문의처 

    기업지원전략팀 김정한 선임연구원

     

    053. 245. 5084

     

    jhkim@gitc.or.kr